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한양대수시
- 건국대 수시
- 숭실대 수시
- 동국대 논술
- 경희대 논술
- 한국외대 수시
- 카리스 인문학
- 동국대 수시
- 숙명여대 수시
- 성균관대 논술
- 인하대 논술
- 이화여대 논술
- 중앙대 수시
- 인하대 수시
- 시립대 수시
- 중앙대 논술
- 시립대 논술
- 한양대논술
- 성균관대 수시
- 키르케고르
- 광운대 논술
- 소크라테스
- 카리스 아카데미
- 이화여대 수시
- 홍익대 논술
- 광운대 수시
- 건국대 논술
- 숙명여대 논술
- 숭실대 논술
- 서울대 구술
- Today
- Total
목록중등∙고등논술/유형별 (3)
카리스 인문학

적용형 논제란 논제에서 요구하고 있는 항목에 대하여 제시문 또는 자료를 적용하여 설명하는 논제이다. 항목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분석이 바탕이 되기 때문에 적용형 논제는 분석형 논제보다 발전된 형태의 논제라고 할 수 있다. 논제에서 설명을 요구하는 항목에는 의미 설명, 현상 설명, 한계(문제점) 설명, 제시문 간의 관계 설명 등이 있다. 적용형 논제의 경우 제공되는 제시문의 유형에 따라 제시문 적용 설명형 논제와 자료 적용 설명형 논제로 구분한다. 적용형 논제를 출제하는 이유는 제시문이나 자료의 분석 및 이해 능력을 바탕으로 낯설고 어려운 개념이나 현상, 그것과 관련된 효과, 문제점 등을 글로 설명하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적용형 논제의 특징으로는 첫째, 설명의 기준과 대상을 논제나 제시문에서 제시하고..

제시문 표면에 드러난 내용을 정확히 이해했음을 보여줘야 하는 요약하기 논제와 달리 분석하기 논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갈 것을 요구한다. 분석하기 는 분석 대상 속에 분명히 들어있지만, 사람들이 잘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내용들을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며 밝혀내는 것을 말한다. 표면에 드러난 내용을 다시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 담긴 의미까지 찾아내야 하는 것이다. 물리학자가 검은 바위의 성분을 분석한다고 해보자. 만약 물리학자가 검은 돌의 표면에 드러난 성질만 묘사했다면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이 바위는 색깔이 검고, 표면이 닫T불T하고, 한 손으로 들기에는 너무 무겁다는 식으로 말이다. 물리학자가 이런 얘기만 하고서 본인이 분석을 했다고 한다면 사람들은 물리학자를 비웃을 것이다. 그게 무슨 분석이냐..

요약형 논제란 제시문의 핵심 내용 또는 글쓴이의 핵심 주장을 파악하고 그것을 요약의 원리에 맞게 제한된 분량 안에 서술하도록 요구하는 논제이다 요약형 논제는 제시문의 개수에 따라 단일 제시문을 요약하도록 요구하는 유형과 둘 이상의 복수 제시문을 요약하는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요약형 논제의 출제의도는 궁극적으로 수험생이 대학에 입학하여 진행되는 수업의 내용과 그와 관련된 학문적 내용의 책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있다 이 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시문에 대한 정확한 독해 능력과 이해력을 바탕으로 이를 압축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좋은 요약을 위해서는 선택(삭제), 객관화, 일반화, 변화, 재구성의 원리 등 요약의 원리가 필요하며, 올바른 표현을 위한 정확한 국어 규범과 원고지..